Discover조이네 한국어잡학[문법교육] 의식 고양(Consciousness-Raising): 형태 초점 접근법
[문법교육] 의식 고양(Consciousness-Raising): 형태 초점 접근법

[문법교육] 의식 고양(Consciousness-Raising): 형태 초점 접근법

Update: 2023-09-01
Share

Description

이번에는 그 유명한 '의식 고양(Consciousness-Raising)'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입력 강화(input enhancement)', '입력 홍수(input flood)', 그리고 '텍스트 강화(Textual enhancement)'를 다루었는데, 제가 분류하기를 형태 초점 교수와 연계해서 정리하긴 했지만, 앞서 언급한 교수 기법들을 무조건적으로 형태 초점 교수의 하위 부류화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우선 '형태 초점 교수'라는 것의 등장 배경을 아셔야 하겠죠. 기존에 제시된 언어 교수법들, 그러니까 형태 중심이든 의미 중심이든 단일한 언어교수법으로는 L2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게 된 학자들이 언어를 의미 중심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하면서도 형태도 중요하다는 입장이 반영된 것이 바로 '형태 초점'인 것 아시죠. (후~ 한 번에 읽기에 너무 힘들쥬 ^ㅠ^)


그리고 형태 초점이라 해도 형태를 중심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의미가 중심이 되되 형태는 넌지시 습득하도록, 다시 말하면 명시적으로 '이 문법은 이거다'하고 가르치는 게 아니므로 그 '넌지시' 제시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있겠죠. 그래서 제2 언어 교수법 중에서도 이해 가능한 입력에 초점을 둔 '입력 강화'의 여러 기법들을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 초점 교수법에 적용한 것입니다. 학습자들이 이걸 습득했는지 아닌지 확인할 방법에는 한계가 있지만, 우선 입력하는 자료 혹은 정보에 있어서 교사의 재량껏 결정하고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입력 강화의 여러 기법들이 형태 초점 교수와 매우 자주 연계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아무튼 입력 강화는 문법뿐만 아니라 어휘나 발음 등을 가르칠 때에도 충분히 여러 가지 기법을 콜라보해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제가 단순화의 오류를 무릅쓰고 부제를 저리 정하긴 하였지만, 반드시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지는 잘 잡고 지나가셔야 한다는 것을 알려 드리면서, 이번의 주제인 '의식 고양'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팟캐스트 내용을 읽으시려면 다음 링크를 따라가 주세요.


https://nurimal.tistory.com/46

Comments 
00:00
00:00
x

0.5x

0.8x

1.0x

1.25x

1.5x

2.0x

3.0x

Sleep Timer

Off

End of Episode

5 Minutes

10 Minutes

15 Minutes

30 Minutes

45 Minutes

60 Minutes

120 Minutes

[문법교육] 의식 고양(Consciousness-Raising): 형태 초점 접근법

[문법교육] 의식 고양(Consciousness-Raising): 형태 초점 접근법

Joy Do